선교방향

주님의 마음교회는 다음 3가지 선교 타겟을 선교 방향으로 설정하고 주력하려고 합니다.
미전도 종족: 전통적으로 선교는 국가 단위로 실행되어 왔다. 그러나 같은 국가 구성원이라도 언어와 문화가 다른 종족들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가 단위의 선교는 모든 종족에게 복음을 전할 수 없다. 1974년 스위스 로잔 선교대회에서 랠프 윈터 선교사는 국가보다 혈연, 문화, 언어 등의 요소로 구분되는 종족 개념의 선교적 접근을 주창했다. 이것은 선교 역사상 대단히 큰 영향력을 주었고, 그 후 미전도 종족에 대한 선교전략이 점점 체계화되었다.
미전도 종족(Unreached People)은 ‘숨겨진’, ‘잊힌’, ‘무시되어진’ 또는 ‘닿지 못한’의 뜻이 있으며, 자신의 종족 집단에 복음을 전할 역량이 없는 종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미전도 종족은 복음을 들어 본 적이 없으며 (복음이 그들에게 이해할 방법이나 형태로 그들에게 선포된 적이 없으며), 복음에 응답한 적이 없고, 교회가 있지 않으며, 그들의 모국어로 번역된 성경을 갖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기독교 인구가 2% 미만일 경우 스스로 전도할 능력이 없어 외부로부터 선교 지원을 받아야 하는데, 이들도 미전도 종족으로 포함시키기도 한다.
미전도 종족의 구체적인 정의와 숫자는 선교학자에 따라 다르나, 세계의 25,000 여 인종그룹 중에서 8,000 - 12,000 개 정도의 미전도 종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리적으로는 주로 북위 10도에서 40도에 해당하는 지역에 미전도 종족이 밀집해서 분포하고 있어서, 이 지역을 10-40창(Ten-Forty Window)라고 부른다.
국가중심의 선교 정책만으로는 복음을 들을 기회조차 얻지 못한 미전도 종족을 효과적으로 선교하기위서는 전문적인 선교인력 풀을 구축하는 것이다. 미전도 종족에게 개 교회회가 자체 선교자원을 가지고, 한 민족을 처음부터 자립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지속적인 제자낳는 교회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큰 교회의 경우 "미전도 종족 입양" (AAP(Adopt-A-People))의 전략을 추구하기도 하나 이 역시 교회 리더쉽이 바뀌어 버리면 그 지속성이 보증이 되지않기에 현실적으로 열매를 보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따라서 주님의 마음 교회는 중단기 (10년~50년 프로젝) 선교전략을 가지고 있는 전문 선교단체와 협력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고, 개 교회가 직접 성과를 보려는 일회적이고 일시적인 선교열정을 협력으로 돌려야 한다고 본다. (미전도종족선교에 관한 글 출처: https://www.kcpc.org/missions/missions/unreached)
미국 원주민: 역사적으로교 선교 대국이라 자처하는 미국이지만 북미 대륙에 있는 200여 인디언 부족은 여전히 미전도 종족으로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많은 선교학자와 현지 선교사가 동의 하듯이 미국 원주민 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마인드는 역사적 상처를 모듬기 위한 ‘화해사역’ 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 미국 원주민선교다. 과거 백인들의 침략 수단으로 인식되어버린 기독교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수정하기 위해서이다.
신대륙에 도착한 유럽인들은 주로 자신들의 점령과 지배를 합리화 하기위해 힘의 논리에 입각한 “발견자 우선주의(The Doctrine of Discovery)”와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이라는 두 가지를 주장했다. 백인들에 의해 발견된 영토의 소유권은 발견한 국가에 귀속 된다 는 것과, 이 새로운 영토의 지배권을 행사 하는 과정에서 원주민의 저항과 도덕적 부당성을 해소하기위해‘명백한 운명’ 이라는 주장을 강요했던 것이 사실이다.
역사적으로 이런 강압을 강요당한 북미원주민들에게 있어 미국 원주민 선교는 당연히 화해와 용서의 태도로 신뢰를 회복해야 하며, 지난날 제국주의적 시혜주의적 선교의식도 근본적으로 버려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기술과 문명이 조금 앞섰다고 해서 선진국의 사람들이 인간성마저 인디언보다 앞선것은 결코 아닐 것이다. 원주민들의 삶은 낙후된것이 아니라, 저들만의 문화와 역사가 있었고, 자기들만의 세계관으로 그렇게 그 땅위에서 조화롭게 살아왔을 뿐, 문화든 사람이든 자기기준에서 출발한 시선으로 열등과 우등을 평가하는 것은 결코 타인을 보는 성경적인 관점이 아니다. 원주민들이 비록 궁핍과 과학기술 문명에 있어서 조금 뒤떨어진 생활을 한다고 해서 그들을 우리에게 배워야하는 존재로 인식한다면 원주민 선교는 답이없다. 저들은 저들만의 역사와 문화가 있으며, 또한 저들 특유의 세계관이 있음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에서부터 선교는 출발한다. 미국 원주민들은 시간성 보다는 공간성, 자연에 대한 지배보다는 조화, 생존경쟁 보다는 공생의 법칙,땅의 소유개념 보다는 공개념 및 공동소유, 공동관리, 끊임없는 발전 추구보다는 자족하는 삶 등을 들수 있다. 오히려 선진문명의 사람들은 여전히 그들의 정신유산을 존중하고 본받을 필요가 있다. 자연 친화적이며, 자연을 자신들과 연결될 생명의 일부로 보고 보호하고 무분별한 남획을 하지 않는 모습은 오늘날 선진문명의 탐욕과 대조된다. 오히려 그들의 자연을 대하는 태도는 “땅을 정복하라 다스리라”는 성경적인 지상명령을 가정 성경적으로 보여주는 한면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주님의 마음교회 인디언 선교는 여러 선교사님의 조언을 따라 , 자꾸 뭔가 할려고, 자꾸 뭘주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가서, 관찰하고, 듣고, 배우고, 생각하고, 기도하는 것부터 차분히 시작하는 것이다. 계속 언급했듯이 미국 원주민들을 무조건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 여기는 인식은 반드시 극복되어져야 한다. 시간을 가지고 좋은 관계를 맺어 서로의 존중이 통할 때까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그런 선교를 해야 될 것이다. 그들의 필요를 우리가 채워줄수 있다는 자신감보다,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묻는 소통과 관계로 선교해야 할 것이다. 역시 주님의 마음교회는 이 원주민선교사역도 동일하게 현지 선교전문가의 조언을 따라, 현지 선교사와 협력하는 선교를 함으로서 장기적인 그들의 선교사역을 돕는 것을 그 방식으로 한다.
북방선교: 북한 및 러시아 중국 몽골등의 북방 중앙 아시아 지역에서 아직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국가와 민족에게 나아가길 원합니다.